경남신문 의료칼럼 - 마스크 속 진정 안 되는 내 피부
페이지 정보
[의료칼럼] 마스크 속 진정 안 되는 내 피부
무더운 날씨와 연일 비가 오는 오락가락한 날씨 속에서 마스크 속 내 피부도 같이 오락가락한다.
평소에 없던 여드름도 올라오고 피지량도 많아지고 건조한 것 같기도 하고 피부도 거칠거칠하다. 각질 제거를 매일하지 않으면 화장도 들뜨고 오후만 되면 번들거리고 하얗게 각질도 올라온다. 피부에 자극을 주지 말라는데 대체 어떻게 피부 관리를 해야 할지 도무지 감이 안 잡힌다.
마스크를 쓰게 되면 고온 다습한 환경이 된다. 즉, 한여름과 같은 피부 상태가 된다. 피지분비량도 증가해서 번들거리고 뾰루지도 쉽게 나고 얼굴 열감도 있고 붉고 예민해진다. 논문에 따르면 온도가 1도 올라갈 때마다 피지분비량은 10퍼센트 증가한다고 돼 있는데 이 같은 이유 때문에 피지 분비량이 증가하게 되고 피지가 먹이인 여드름 균도 증식을 하게 되면서 여드름이 올라오게 된다.
그리고 습한 환경이 되면 세균들이 번식을 더 잘 하게 돼 여러 피부 상재균들이 늘어나면서 모낭 자체에 염증이 생기는 모낭염도 생기게 되어 피부 트러블이 유발된다. 이런 경우가 반복된다면 병원에서 반드시 항생제 처방을 받아야 한다.
집에서는 화장품의 사용 개수도 줄이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크림을 사용했다면 가벼운 타입의 로션만 쓰거나, 유분이 많은 화장품보다는 수분 위주의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메이크업을 최소화해 피부에 주는 자극을 줄이는 것이 좋다. 메이크업을 하기 위해 또 지우기 위해 여러 자극이 더해지게 되므로 최소화하도록 한다.
혼자 있거나 환기가 잘 되는 야외라면 마스크를 벗어 피부를 자주 환기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다. 피부에 트러블이 나고 각질이 생기게 되니까 억지로 각질 제거를 하고 손을 대고 짜거나 하는 경우가 많다. 무리한 자극이 더 가해질 경우, 피부 장벽이 무너져 더 심한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으니 집에 돌아오자마자 가볍게 세안을 하고 빨리 보습을 해주는 정도로만 피부 관리를 해주는 것이 좋다.
김지아 (다니엘성형외과 원장)
- 이전글[경남신문] [유산균] 잘 알고 먹어야 장 건강 지킨다. 25.02.18